Interview with Nara Yoshitomo

2 July 2018

Japan

In recent years, you have been engaged with more projects to do with Northern Japan. Can you talk a little more about why this region is important to you? How did you first become interested in working in Tobiu?

I was born and raised in a place in Aomori Prefecture, the most northern prefecture on Japan’s mainland, just south of Hokkaido. I was raised there until I graduated from high school at 18. It is called the “snow country” as it snows there a lot. As for how it is connected to Tobiu, it is actually not directly connected. The 2011 earthquake affected area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Japan, including my home. I was worried about my family so I went back to my hometown and had a chance to talk to my mother about a lot of things. My mother talks a lot about her father, my grandfather. A long time ago, before the Second World War, people would leave the area to look for work during the winter. He was a farmer, but farming didn’t pay much, so he would leave to look for work during the winter. Now people go to big cities and work on construction sites or in car factories; but back in those days, it was fishing or coal mines; it was mainly coal mines, people from northern prefectures would go and work in coal mines. They would work as miners in Hokkaido, or Karafuto, when it still belonged to Japan. Now it’s called Sakhalin. They also worked as fishermen in the Kuril Islands. I was unaware of any of this until my mother told me, but somehow, then, I wanted to retrace my grandfather’s footsteps, so I went to Sakhalin.

Originally the northern prefectures where I was born and raised became part of Japan much later when compared to other prefectures. As I wasn’t born in a major city, I started to want to know more about other non-mainstream places in Japan. Around 2016, when I went back to my family, Japan’s high-speed railway, the Shinkansen, started service to Hokkaido. It travels through an undersea tunnel to Hokkaido, and I tried it on my way back home just one week after services started. To a city called Hakodate. Then I took the train to a place called Muroran. There was a bay called Funkawan. I travelled along Funkawan to reach Muroran. I stayed at Muroran for a night, rented a rental car, and planned to go to Tobiu the next day.

In Tobiu, how should I put it, instead of being aware of the Tobiu Arts Festival, I first encountered people who were engaged in a reforestation project there. At the back of an abandoned primary school there was a forest and they planned to revitalize it. I first got to know about the place from how this group was working with local people on reforestation. But I didn’t go there because I was interested in art or reforestation. Instead, I just happened to find out that the Tobiu Arts Festival would be held there. I originally had plans for the next day. I had already rented a car so I wanted to go, and I went. The day I visited was, coincidentally, one of the two days each month that everyone participates in reforestation. I was really happy that I came because I arrived right on the day they worked on reforestation. After the work was done, they would always go for a barbeque, and I was invited. We had the barbeque in the gymnasium of the abandoned school. While we were eating, I thought to myself, I want to join and see the Tobiu Arts Festival.

I ended up joining in 2016. At that time, the animation I screened was not created specifically for the Tobiu Arts Festival, but I decided to screen it, as well as other regular lectures about my work. When I actually went to see the venue for the Tobiu Arts Festival for myself, I felt at first that it wasn’t a convenient space to showcase artworks, so I thought I would just give lectures and then leave.The reason is that, as with most arts festivals, biennale and triennale exhibitions, once the exhibition is over, the space has to revert back to its original state. In Tobiu, there is always someone there, twice a month everyone would work on the reforestation project. Somehow with this type of art or art festival, with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s gathering and working towards one common goal, there is a great sense of communal purpose. Somehow it was a unique place. The arts festival that I was invited to join was different.

So in the following year, 2017, I wanted to do it properly. I went there for a month and lived there. It became something I’d do while living there. Somehow I felt that I should become involved in Tobiu and spend time there. So the following year I lived in Tobiu for more than a month, created artwork, and showcased it.

Your Tobiu project features works that are very different from your usual practice, such as charcoal portraits of specific people. Why?

Tobiu is actually part of an area called Shiraoi-cho, with a population of 30 people, 10 households, a very remote, hard to reach region. In order to work on reforestation, everyone would gather there twice a month. At that time, I tried to live there for a month to work on my art. I then displayed my works at the arts festival a month later. I went there, and the site is an abandoned school. It has been abandoned for a long time. A sculptor was working there using the school as his studio. We started to work together. There were only two of us, even at night. While we were creating art there, it made no sense for us to produce the usual artwork that we produce in the studio. I wanted to connect with community and create work that relates to its history. Otherwise, I felt like it didn’t make sense.

When I started to consider my motives for coming to Tobiu and devoting a whole month to being there, I couldn’t work. At that time, the arts festival was due to start in a month. Usually everyone would come twice a month to help, but it gradually increased to three times a week. Everyone would bring their kids along with them, and the children would play together outdoors. While they were playing, I found dried-up clay inside the school. I rehydrated and reformed the clay, then the kids and I played with it. While we were playing with it, it came to me, in a very natural way, that I wanted to recreate the children’s faces in clay. Then, one of the people involved in the reforestation project would burn some of the wood waste, such as branches, for example. The process of burning this waste wood creates coal. There was someone there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oal. Rather than coal it was charcoal. He wasn’t a painter, he just wanted to make charcoal. Charcoal is often used to sketch rather than to actually create a final artwork. So I thought why not use charcoal first. To draw these children.

There were 5 children and I wanted to sketch their faces with charcoal. I prepared some paper. That paper was very wide, around 180cm x 90cm, I think. Of course, the paper was bigger than an actual child. I sketched on the paper, using charcoal, charcoal made from the branches taken from Tobiu. I drew while looking at the children’s faces. The last time I sketched with a live subject is around the time of my first year at university, so around 30 or 40 years ago. I have tried to do so again since then but, well. Well it was not a detailed sketch, but rather a rough draft, something that was drawn quick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My experience playing with the kids compelled me to draw them. I wanted to bring the kids back to the abandoned classroom again, on the wall of the classroom, hang their pictures on the outside wall. That is the current exhibition.

As for why I became good friends with the kids, well, because I wanted to draw them. One might think that I like kids a lot, but actually I don’t have many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kids. At that time, when I first engaged with the kids on a daily basis, they came to see me not as an artist, but rather as a strange uncle, an uncle who is good at painting and at art. Without any hesitation, they would doodle over my drawings. This was refreshing for me. Many adults see me as an artist, some are awed, and some approach me only as an artist. Kids are totally different. I think that by interacting with kids, it generates a lot of ideas.

What are some of the borders that matter to you?

Living in Tobiu, though I’ve only lived there for a short period of 1 month, it feels like I have somehow returned to my childhood. Although I may create works in a remote place, where I live is an urban area, a place where people gather, a city, an arts scene. Because I am so used to this environment and to my position as an artist in it, I had almost forgotten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emote environments. I lived in an art scene bubble. When I went to Tobiu, to interact with the kids, I clearly saw another unknown world.

And, that unknown world is actually a world that I knew. Somehow the world of art has a boundary line, I realized that I had never stepped outside of that line. That line is physical and geographical, from the perspective of a city, the more you go to places that are considered rural areas, the less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arts, or the number of people who care about or like art gradually decreases. That in turn awakened me to a world beyond art. The reason for the awakening was, well, in Tobiu, meeting the kids. 

Before that, I was probably living in an art history bubble. Within an art scene bubble. Within art history. I just took it for granted that I was part of it and that I was living within it. However, I ended up leaving such a place and went to a remote place. Then, when I was there, thanks to the power of the children, I transcended the borders of the arts scene, or something like that. And with this transcendence, a very personal history reemerged. That self was awakened. A self totally unrelated to art history, something truly rooted in Tobiu and visceral, something triggered by my own memories, something like that. How should I put it, I came up with this because I’m being asked now, but the cause was not within me. If you have to put a finger on it, then it would be the children and the place.

With the opportunity provided by this remote region, it seems as if that self has suddenly made a u-turn. There is no connection with the art scene there, and it feels like I am able to retrieve the feelings connected to my own history and from when I was a child. How this experience connects to the artistic world, my personal history, as well as the people around my individual self, people who are not related to art, to things, the forest or nature, in a world where everything is lumped together, prompts me to think about how I should stand as a person.

나라 요시토모와의 인터뷰

2018 년 7 월 2 일

일본

최근 일본의 북부 지방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많이 하셨는데, 이 지역이 왜 작가님께 중요한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언제 처음으로 토비우에 관심을 가지게 되셨나요?

저는 일본 본토 제일 북쪽, 홋카이도 바로 아래 위치한 아오모리현에서 태어나고, 18세에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 까지 그곳에서 자랐습니다. 그 지역은 눈이 많이 내리기에 “설국” 이라 불립니다. 제가 태어난 곳이 “토비우”와 관련이 있냐고 물으신다면, 사실 직접 관련되어 있지는 않아요. 2011년에 지진이 일본의 북부 쪽을 강타했을 당시 저의 집도 영향을 받았습니다. 저는 가족이 걱정돼서 급히 집으로 갔고 그 후 어머니와 많은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어머니는 그녀의 아버지, 즉, 저의 할아버지에 대해서 자주 말씀하십니다. 아주 오래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 그곳에 머물던 사람들은 겨울이 되면 일을 찾아 다른 곳으로 떠났습니다. 저의 할아버지께선 농부셨지만, 농사일은 돈이 별로 안되니 겨울이 되면 다른 곳으로 일을 찾으러 가셨습니다. 지금이야 사람들이 도시로 가서 공사장이나 차 공장 같은 곳에 가겠지만, 그 시대엔 어업을 돕거나 광산으로 향했습니다. 홋카이도, 혹은 이제는 사할린이라 불리는 일본 영토였을 적 가라후토에서 광부로 일하기도 하고 쿠릴열도에서 어부로도 일했죠. 저는 어머니가 말씀해주시기 전까진 이런 것들을 하나도 몰랐습니다. 그러다 문득 할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고 싶어 사할린으로 향했죠.

사실 제가 태어나고 자란 북쪽 현은 다른 현보다 일본에 늦게 합류했습니다. 제가 큰 도시에서 자란 게 아니기에 다른 비주류 지역을 더 알고 싶어졌죠. 2016년 즈음에 다시 가족에게 돌아갔을때 고속철도 신칸센이 홋카이도에 깔렸습니다. 홋카이도의 바다 밑 터널을 지나죠. 개통 일주일 후 집에 돌아갈 때 타봤습니다. 홋카이도현에 있는 하코다테라는 도시로 말이죠. 이후 열차를 타고 같은 현에 위치한 무로란시에 가는 도중 훈카완이라는 소년과 동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무로란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렌트카를 빌려 다음날 토비우로 향할 계획이었죠. 제가 처음 토비우를 알게 된 건 토비우 예술제 때문이 아니라 그곳에서 재식림 작업을 하는 사람들을 만났기 때문입니다. 버려진 초등학교 뒤편에 있는 숲을 재건하기 위한 작업이었죠. 토비우라는 지역도 이들이 토비우의 주민들과 일한다는 것으로 알게되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재식림 작업이나 미술을 위해 그곳에 갔던 게 아닙니다. 그저 토비우 예술제가 그곳에서 열린다는 것을 알아서 갔었죠. 원래 다음 날에 할 계획이 정해져 있었지만 차도 빌린 김에 갔습니다. 제가 방문했던 그날은 우연하게도 매달 이틀씩 있는 재식림 작업 날이었습니다. 저는 기쁘게 작업에 참여했고, 재식림 작업이 끝나고 매번 연다는 바베큐 파티에 초대되었습니다.

바베큐 파티는 버려진 그 학교의 체육관에서 열렸습니다. 그리고 먹는 와중에 문득 토비우 예술제에 참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죠. 결국 2016년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에 제가 상영한 영상은 토비우 예술제를 위해 만들어진 작품이 아니었지만 제 작품에 대한 강의에 더불어 상영하기로 했었습니다. 그리고 직접 토비우 예술제가 열리는 장소를 보러 갔을 때 처음 든 생각은, 이곳은 미술 작품을 전시하기에 편리한 장소가 아니라는 것이었죠. 그래서 그냥 강의만 하고 떠날 생각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예술 축제나, 비엔날레 그리고 트리엔날레 같은 대부분의 전시는 끝나자마자 전시하기 전 상태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토비우는 언제나 그곳에 사람이 살고 있고, 한 달에 이틀씩 모든 이들이 모여 재식림 작업을 하죠. 이런 예술작업이나 예술제는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단 하나의 목표를 위해 일하기에 공동체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토비우는) 왠지 색다른 곳이었죠. 제가 참가한 예술제는 무언가가 달랐습니다. 그 이듬해인 2017년에는 제대로 참가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이사를 해서 한 달간 토비우에 거주했죠. (예술제는) 제가 거기에 머물면서 하는 일이 되었습니다. 왠지 토비우에서 시간을 더 보내며 더 그곳과 엮이고 싶었기에 한달 넘게 거주하며 작품을 만들어 전시했습니다.

작가님의 토비우 프로젝트는 목탄으로 그린 특정 인물의 인물화라는 점에서 평소 작가님의 작업 스타일과 아주 다른데 그 이유를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토비우는 사실 시라오이라는 아주 외진 지역에 있습니다. 총인구수 30명에 10가구밖에 안 되는 가기 어려운 위치에 있죠. 재식림 작업을 위해 사람들은 그곳에 한 달에 두 번 모입니다. 그 당시 생각으론 토비우에 한 달 동안 거주하며 작품을 만들고 그 기간이 끝났을 때 예술제에 작품을 전시할 예정이었습니다. 그곳에 갔더니 버려진 지 오래된 학교가 있었습니다. 그 학교를 스튜디오로 쓰는 조각가도 있었죠. 우리는 같이 작업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심지어 한밤중에도 단 둘뿐이었죠. 그런 곳에서 작품을 제작하는데 평소의 작업 스타일대로 하는 건 말이 안 됐습니다. 저는 그곳의 주민들과 친해지고 그곳의 역사에 관련된 작업을 하고 싶었습니다. 아니면 말이 안 된다고 느꼈습니다.

제가 토비우에 오게 된 계기와 한 달을 통째로 바칠 생각을 하자 작업에 손이 가지 않았습니다. 예술제는 한 달이나 더 있어야 시작을 했고, 한 달에 두 번 있던 재식림 작업은 점점 일주일에 세 번으로 늘어났죠. 모든 사람이 자녀들을 데리고 왔고 야외에서 아이들은 모여서 놀았습니다. 그들이 놀고 있을 때 저는 학교 안에서 마른 찰흙을 발견했죠. 그 찰흙을 축이고 다시 살려내서 아이들과 함께 가지고 놀았습니다. 그걸로 놀고 있을 때 문득 아이들의 얼굴을 찰흙으로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재산림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몇몇 나뭇가지 같은 나무로 된 불순물들을 태웠는데 이런 것들을 태우면 숯이 되지 않습니까. 그들 중 숯을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사실 숯이라기보다는 목탄이죠. 그는 미술을 하는 사람은 아니었고, 그저 목탄을 만들고 싶어 했습니다. 목탄은 완성작을 만들기보다는 스케치 단계에서 많이 사용되죠. 그래서 저는 그냥 목탄을 사용해 이 아이들을 그리기로 했습니다.

그곳에는 5명의 아이가 왔었고 목탄으로 아이들의 얼굴을 그리고 싶었습니다. 이를 위해 종이를 준비했죠. 이 종이는 가로세로 180에 90cm인 아주 큰 종이였습니다. 당연하게도 실제 아이보다 큰 종이에 토비우의 나뭇가지로 만들어진 목탄으로 아이를 스케치했습니다. 아이들의 얼굴을 보면서요. 마지막으로 실물을 보며 그린 게 3-40년 전 대학교 1학년 때였죠. 그 이후로 다시 그리려 노력했지만, 잘 안됐죠. 엄청 자세하게 그린 스케치보단 거친 초안에 가깝게 빠르고 단숨에 그린 거였죠. 아이들과 같이 논 경험이 그들을 그리도록 이끌었습니다. 아이들을 버려진 교실로 되돌려놓고 싶었기에 교실 외벽에 그림을 걸었고, 그것이 현재 하는 전시입니다.

왜 제가 아이들과 친해졌냐 물으시면, 저는 아이들을 그리고 싶었습니다. 보통 제가 아이들을 좋아한다고 생각하시지만 저는 사실 아이들과 같이 소통을 할 기회가 별로 없었습니다. 토비우에서의 시간이 처음으로 매일 아이들과 보낸 기간이었고, 아이들은 저를 예술가보다는 그저 그림 잘 그리는 이상한 삼촌으로 생각했습니다. 주저 없이 제 그림에 낙서하는 모습이 신선하게 다가왔죠. 수많은 어른들은 저를 예술가로 봅니다. 그중 어떤 이들은 경외심을 가지고, 또 다른 이들은 그저 예술가의 면을 보고 다가오죠. 아이들은 전혀 다릅니다. 아이들과 소통하는 것은 많은 아이디어를 떠오르게 합니다.

작가님께 어떤 경계들이 중요한가요?

한 달밖에 안 지냈지만 토비우에 살면서 저는 어린 시절로 돌아간 느낌이었습니다. 제가 외진 곳에서 작품을 만들어도 제가 사는 곳은 사람들이 모이거나 예술이 성황 하는 도시입니다. 그리고 이런 생활에 익숙해지고, 저의 예술가라는 직업 때문에 저는 도시와 외진 생활의 차이를 잊고 있었습니다. 예술이라는 거품 속에 살았죠. 토비우에 가서 아이들과 놀았을 때 저는 여태껏 보지 못한 다른 세계를 보았다고 자신합니다.

그리고 그 세계는 사실 저도 알던 세계입니다. 어쩌다 보니 예술이라는 것이 제 세계에 경계를 그렸고, 저는 그 이후 예술의 경계를 나간 적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선은 물리적이고 지리적입니다. 도시의 기준에서 보았을 때, 시골이라고 불리는 지역에 갈수록 사람들은 예술에 관심을 덜 두거나 예술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줄어듭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저는 예술의 경계를 넘은 세계를 깨달았죠. 토비우에서 이것을 깨달은 이유는 아이들을 만났기 때문입니다.

이 전에 저는 아마 미술사의 거품 속에서 살고 있었겠죠. 그리고 미술사 안에 존재하는 예술 세계의 거품 속에 말입니다. 저는 그 안에 살고 있다는 것을 당연시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떠났고 외딴곳으로 향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 있었을 때 아이들의 힘으로 저는 예술 세계의 경계를 초월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아주 개인적인 역사가 재생성되었죠. 저 자신이 깨어난 겁니다. 미술사와 완전히 무관한, 토비우에서 근원이 된, 본능적이고 저 자신의 기억을 되돌아보는 자신이요. 이 자각을 한 이유는 방금 저에게 질문하셨기에 떠오른 것이지 제가 언제나 마음에 두고 있던 것은 아닙니다. 만약 되돌아서 무언가를 꼭 정해야 한다면 아이들과 그 장소겠지요.

이 외딴 지역에서 얻게 된 기회는 저 자신이 급히 길을 되돌아오는 것 같았습니다. 그곳은 도시의 예술 세계와 연관이 없고 저의 역사나 어렸을 적 느꼈던 감정들을 되돌리는 경험이었습니다. 저의 이 경험이 어떻게 예술 세계, 제 개인의 역사, 주변 사람들, 예술에 무관한 사람들, 물건, 숲, 자연, 그리고 모든 게 뭉쳐지는 세상과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통해 저 자신이 어떻게 인간으로서 존재할지 고민하게 합니다.